본문 바로가기

공짜로 즐기는 세상566

제가 대신 읽어보겠습니다 지난 봄, 제가 좋아하는 어느 작가분으로부터 메일을 한 통 받았습니다. '함께 해주세요! (가제) 청소년이 알아야 할 교양(세상) 이야기 O O 또는 청소년 인문학 작금의 현실을 그대로 우리 후배들에게 물려주어서는 안될 것이고, 미래 세대에게 희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도록 돕는 노력을 우리 선배 세대들이 행해야 하지 않을까요? 선배 세대의 이야기가 후배 세대들의 건강한 미래를 돕는 것은 파괴된 우리의 공동체를 복원하는 연대의 시작점이 될 지도 모르겠어요. ㅎ 뜻하지 않게 모월 모시 모처에서 뜻맞는 친구, 동지들과 막걸리파티를 하다 분기탱천, 의기투합하야 이 방을 돌리니, 우리의 앎이 우리 모두의 삶을 성장시켜나가는데 한 몫 했으면하고 생각만하고 있던, 그리고 해야한다고 다짐하고 있는 친구, 동지들은 .. 2016. 11. 10.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오늘은 아주대 감동근 교수님의 글을 소개합니다. 함께 읽고 생각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의 저자 유발 하라리가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 직후 우리나라를 방문해서 인공지능이 인류의 미래에 끼칠 영향에 대해 극단적으로 암울한 전망을 한 바 있다. 과거에 대한 그의 통찰력에 비해 미래에 대한 그의 견해에는 허술한 면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그가 한 얘기 중 적극 공감할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은 대목이다. “현재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내용의 80~90%는 이 아이들이 40대가 됐을 때 전혀 쓸모없을 확률이 크다. 어쩌면 지금 아이들은 선생님이나 연장자에게 배운 교육 내용으로 여생을 준비하는 게 불가능한 역사상 첫 세대가 될지 모른다. 우리가 아이들에게 가르쳐줄 가장 중요한 기술은 ‘.. 2016. 11. 9.
너무 열심히 일하는 게 탈이다 친구들을 만나면 묻는 질문이 있다. “드라마 피디는 시청률이 대박나면 월급 더 받는 거냐?” “아니. 시청률이 30%든 5%든 받는 월급은 큰 차이가 없어.” 드라마 PD처럼 성과가 눈에 보이는 직업도 없다. 시청률로 모든 게 판가름 난다. PD로 살면서 어쩌면 이게 가장 큰 스트레스다. 나의 업무 성과를 주위 사람이 다 안다. 앞집 아저씨가 회사에서 일을 잘 하는지 못 하는지, 사업이 잘 되는지 안 되는지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내 드라마의 시청률은 뉴스로 뜬다. 망하면 주위에서 다들 안타까워한다. 시청률이 안 나와서 혹 월급이라도 깎이는 것 아니냐며 걱정한다. PD들의 급여가 성과연봉제가 아닌 것은 다행이다. 성과와 보상을 연동한다면, 안전하게 시청률을 보장해주는 막장 드라마만 연출하려고 할 테니까... 2016. 10. 19.
이야기꾼의 노후대책 내년이면 나이 오십에 접어드는 요즘, 저의 가장 큰 관심사는 노후대비입니다. 2014년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퇴직 연령은 52.6세이고, 52세 성인 남녀의 기대 여명 평균값은 33.2년입니다. 즉 퇴직하고 평균 30년을 더 산다는 말이지요. 그렇다면 은퇴자금은 얼마나 모아야 할까요? 서울 거주 2인 가구 월평균 생활비가 230만원이니까 거기에 360개월을 곱하면 8억2천800만원이 나옵니다. 이래서 은퇴 자금으로 10억은 필요하다는 말을 하나봅니다. 하지만, 10억 모으기가 어디 쉽나요? 퇴직할 때 빚만 없어도 다행입니다. 만약 은퇴자가 매월 100만원의 소득을 올리고, 또 매달 100만 원의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면 은퇴 시점에서 필요한 돈은 0원입니다. 어떻게 해.. 2016.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