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카미 하루키의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보면, 하루키는 전업 작가로 살면서 체력 관리를 위해 매일 달린다. 하루도 빠지지 않고 달리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 ‘근육은 잘 길들여진 소나 말 같은 사역 동물과 비슷하다. 주의 깊게 단계적으로 부담을 늘려 나가면, 근육은 그 훈련에 견딜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적응해 나간다.’
이명박 정부가 언론을 장악하려고 권력을 동원하던 시절, 문화방송 노조는 미디어 법 반대 파업, 낙하산 사장 반대 투쟁을 벌였다. 거의 매년 파업이 일어났고, 노조는 모든 싸움에서 졌다. 양심적인 기자와 피디는 현업에서 쫓겨났고 구성원들은 패배의식에 빠졌다. ‘어차피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시대라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살아도 되지 않을까?’ 양심도 사역 동물이다. 그냥 두면 너무 쉽게 게을러지고 망가진다.
2012년 1월, 무너진 뉴스를 보다 못한 문화방송 기자회가 제작거부를 선언했다. 다시 파업의 전운이 감돌았다. 드라마와 예능 피디의 입장을 대변하는 노조 편제부문 부위원장이었던 나는 총파업에 반대했다. 뉴스가 문제라면 기자들이 평소에 보도를 잘 하면 되지, 굳이 예능 프로그램까지 세워야 하느냐고 물었다. 이용마 당시 노조 홍보국장이 말했다. “기자들더러 일상 투쟁을 하라는 건, 회사를 상대로 개인이 싸우라고 하는 겁니다. 조직에서 개인은 약자입니다. 사회적 약자를 돌보는 것이 언론의 역할이라면, 공정방송을 요구하는 기자들을 외면하지 않고 함께 싸우는 것이 노조가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문화방송 조합원들은 투표를 통해 다시 총파업을 결의했다.
2012년 이명박 정부 임기 마지막 해, 우리는 170일 동안 싸웠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방송사 노조 최장기 파업이었다. 우리는 그 싸움에서 또 졌다. 싸워야한다고 앞장 선 이용마는 가장 먼저 해고를 당했다. 검찰은 2번이나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이용마와 내게 징역 2년형을 구형했다. 이용마는 회사에서 쫓겨났고, 나는 드라마 제작 현장에서 쫓겨났다.
주조정실 송출 작업이 나의 담당업무가 되었다. 24시간 교대근무를 하며 망가진 뉴스를 지켜보는 것이 나에게는 벌이었다. 괴로운 시절을 어떻게 보낼까 고민하다 글을 쓰기로 했다. 하루키의 책을 읽으며 깨달았다. 글을 쓰는 것도 마라톤 훈련과 같다. 매일 일정량의 원고를 스스로 정한 마감에 따라 꼬박꼬박 써내려간다. 누구도 청하지 않은 글을 혼자만의 기준에 따라 써내려갔다.
20대에 혼자 영어 공부하던 기억을 소환해 쓴 책이 <영어책 한 권 외워봤니?>다. 남은 평생 책을 읽고 글을 쓰며 수행하는 자세로 살자고 결심했다. 촛불 집회에서 적폐 청산 대상에 언론이 거론될 때 마다 부끄럽고 참담했지만 참고 견뎠다. 문화방송 노조 집행부가 연단에 올라 언론 정상화에 시민의 힘을 보태어달라고 호소하자, 야유가 쏟아졌다. 그 모습을 보며 나는 집회 한 구석에 앉아 눈물을 흘렸다. 그때 이용마 기자가 연단에 올랐다. 암 투병으로 병색이 완연한 가운데에도 그의 말만은 서릿발처럼 매서웠다.
“검찰과 언론이 바로 서야 대한민국이 바로 섭니다. 그런데 검찰과 언론은 과연 누구의 것입니까. 국민의 것입니다. 바로 여러분이 주인입니다. 우리 주인들이 그동안 역할을 다 하지 못했습니다. 예수님께서 이런 말씀 하셨어요.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나를 더 추가하고 싶습니다. 국민의 것은 국민에게 돌려주십시오.”
공영방송을 국민의 품으로 되찾아야 한다는 그의 말은 오래도록 내 귓가에 맴돌았다. 어느 날 송출실에 앉아 뉴스를 보다 말고 뛰쳐나와 외치기 시작했다. “김장겸은 물러나라!” 언론의 양심이 무뎌질 때 두 번이나 흔들어 깨운 기자가 이용마다. 그가 이제 긴 잠에 들어갔다. 이제는 우리가 이용마를 대신해 양심의 소리를 내어야 할 때다. 쉽게 무뎌지고 약해지는 양심을 튼튼한 사역동물처럼 길들여야 할 때다.
(오늘자 한겨레 신문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공짜로 즐기는 세상 > 2017 MBC 파업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디 자중자애하시라 (23) | 2020.02.18 |
---|---|
키보드워리어와 아가리파이터 (19) | 2020.01.24 |
당한 만큼 갚아준다 (13) | 2019.06.27 |
김장겸 전사장에게 묻고 싶다 (9) | 2019.04.16 |
공공재를 망가뜨린 사람들 (12) | 2019.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