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짜로 즐기는 세상/중년의 시간관리법5

류비셰프 대신 쓴 답장 를 읽고 트레바리 독서 모임을 했습니다. 멤버들이 모임 전에 책을 읽고 독후감을 올리는데요. 저는 글을 읽고 답글을 썼습니다. 오늘은 그렇게 띄운 온라인 편지 중에서 남기고 싶은 생각의 단편을 블로그로 공유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식입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아침마다 류비셰프 독후감을 읽고 편지를 씁니다. 음, 그러니까 이건 마치 여러분이 류비셰프의 삶을 책으로 만나고 그 분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제가 중간에서 슬쩍 들여다보고, '류비셰프 선생님이 답을 하실 수 없어 조수인 제가 대신 답을 해드립니다.'라고 하는 느낌? ^^ 처음에 제목을 보고 '시간을 정복하지 못한 자'라니 내 이야기인가? 하고 지레 놀랐어요. 스무 살에 이 책을 읽었고 평생 다섯 번은 넘게 읽었지만, 여전히 저는 시간을 정복하진 못했.. 2025. 1. 27.
시간의 주인이 되자 (새해 들어 '트레바리 독서모임'에서 시간관리를 주제로 책을 함께 읽고 있습니다. 클럽장이 쓰는 발제문을 공유합니다.) 도서관 강연을 가면 이런 질문을 받습니다. “피디님 인생을 바꾼 책은 무엇인가요?” 인생을 바꾼 단 한 권의 책을 고르기란 참 어렵습니다. 저는 수많은 책을 읽고 그 책에서 나온 조언을 꾸준히 삶에 적용하며 살아왔으니까요. 그래도 딱 하나만 고르라면 를 뽑겠습니다. 스무 살에 이 책을 읽고 제 인생은 바뀌었거든요.   알렉산드르 류비셰프는 1890년에 러시아에서 태어난 과학자입니다. 8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전공인 곤충분류학과 해부학은 물론 생물학, 유전학, 진화론, 철학, 역사학 등에 걸쳐 방대한 저서를 남긴 분인데요. 철저한 시간 관리와 왕성한 지적 호기심으로 신이 인간에.. 2025. 1. 20.
신뢰 자본과 자유의 의미 2000년에 뉴욕 여행을 갔어요. 스마트폰이니 구글 지도가 없던 시절입니다. 맨하탄에서 전철을 타고 자리에 앉아 지도를 펼쳤어요. ‘그래서 어느 역에서 내려야 하지?’ 그때 제 옆자리에 있던 인자한 미국 할머니가 그랬어요. “여행 오셨나요?” “네.” “뉴욕 지하철에서는 외국인 여행자로 보이면 범죄의 대상이 될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공개된 자리에서 지도를 보는 건 위험한 일이랍니다.” 작년에 미국에 갔을 때도 조심하면서 다녔어요. 20년이 지났지만 뉴욕의 지하철 분위기는 여전히 삭막하더라고요. 서울에서 살면서 치안이 이렇게 좋은 곳도 참 드물다고 느껴요. 한국에 온 외국인들이 깜짝 놀라는 일들이 있습니다. 커피숍에서 스마트폰으로 자리를 맡아둡니다. 빈 테이블에 휴대 전화 하나 올려져 있지만 아무도 신경.. 2024. 10. 14.
수능을 마친 고3 여러분에게 (요즘 수능 마친 고3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다닙니다. 학생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를 글로 옮겨봅니다.) 여러분, 수능 보느라 고생많았어요. 지난 십여년 동안 주위 어른들에게 이런 말을 많이 들었을 거에요. "네가 나이 스물에 어느 대학, 어느 학과를 다니느냐로 네 남은 인생이 결정난다." 그거 다 거짓말이에요. 대학 전공과 인생은 별 상관이 없어요. 저는 대학에서 석탄채굴학과 석유시추공학을 공부했지만, 서른살에는 동시통역사 출신 예능 피디가 되었고, 마흔살에는 드라마 피디가 되고, 쉰살에는 작가가 되었어요. 인생은 생각보다 길어요. 우리는 100세까지 살아요. 나이 스물에 어느 대학을 다니느냐보다 더 중요한 건, 30대나 40대에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느냐 마느냐에요.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 2023.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