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짜로 즐기는 세상/짠돌이 강연 수강일지30 50대, 노후대비의 골든타임 유튜브 채널 에서 올린 인터뷰 2탄입니다. Q-1. 행복한 노년을 위해 꼭 준비해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몸과 마음이 건강한 노후를 위해 나는 오늘 무엇을 하는가? 늘 그것을 생각해보세요. 노후대비는 돈만 준비한다고 되는 게 아닙니다. 시간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준비도 필요해요. 우리는 평생 살면서 공부, 일, 여가 활동, 셋 중 하나를 합니다. 노후에도 이 세가지 활동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공부도 하고, 일도 하고, 여가도 즐기며 사셨으면 좋겠습니다. 나이 60넘어 일만 하면 체력이 고갈되고요, 놀기만 하면 권태가 찾아올 수도 있어요. 세가지 활동이 하루에도 순환하기를 소망합니다. Q-2. PD님이 추천하는 젊게 사는 법, 나이 먹지 않는 법이 있다면? 3가지 활동을 권합니다. 독서.. 2025. 1. 16. 100세 시대, 평생 학습의 즐거움 (최근에 한 강연 원고를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식 작가입니다. 저는 어려서 공부를 그리 잘하지 못했습니다. 고등학교 내신등급이 10등급 중 5등급, 반에서 50명 중에서 24등을 했고요. 대학에서는 자원공학을 전공했는데요. 석탄채굴학, 석유시추공학 이런 과목을 공부했는데, 전공과 적성이 맞지 않아 성적이 바닥이었습니다. (화면 성적표) 보시다시피 C나 D가 수두룩합니다. 대학 성적이 왜 저렇게 낮을까요? 저는 전공에 관심이 없었어요. 저는 어려서부터 책 읽고 글 쓰는 걸 좋아해서 문과에 가고 싶었는데요. 아버지가 취업에 유리하다고 공대를 종용했고, 담임 선생님이 네 성적이면 여기를 가라고 했어요. 즉 주위 어른들이 골라준 전공이지, 제가 선택한 일이 아니에요. 그러니 재미가 없었어요. 나는 평생.. 2024. 12. 9. 50대이후의 소통법. 창비출판사에서 만든 유튜브 채널 에 출연해 소통법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어요. 저는 유튜브 출연하기 전에 항상 제작진이 보내온 질문서를 보며 미리 글로 답을 정리해봅니다. 그러고 가서는 글을 보지 않고 이야기를 합니다. 일단 글을 쓰는 과정에서 생각을 정리할 수 있고요. 가서는 그냥 기억에 의존해서 이야기를 합니다. 원고를 보면서 말을 하면 부자연스럽거든요. 오늘은 그 답변을 공유합니다. 영상을 보셔도 좋아요.Q. 50대 이후 소통이나 대화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을까요? 많습니다. 대상의 폭이 너무 넓어져서 그래요. 예전에 사람이 평생 소통하는 사람들의 범위가 얼마나 되었을까요? 그냥 우리 동네 사는 수십명? 그중에서도 내 또래 몇명 정도 아니었을까요? 이제는 그 대상이 넓어졌고요. 심지어 사회적관계망.. 2024. 10. 11. 말을 잘 하기 위한 3가지 태도 를 쓰고 저자 강연을 다닙니다. 강연을 마치고 나면, 말을 잘 하는 법을 물어보시는 분이 있는데요. 저는 말을 잘 하기 위해서는 좋은 태도를 길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좋은 태도의 밑바탕이 되는 건 자신감, 자존감, 그리고 책임감입니다. 첫째, 자신감. 나는 잘 할 수 있다는 믿음입니다. 말을 잘 하려는 사람은 일단 믿어야 해요. 나는 말을 잘 할 수 있다고. 자신감이 없으면 우리는 쭈뼛쭈뼛 남 앞에서 긴장하게 되고요, 말하는 사람이 자신이 없으면 듣는 사람은 불안해집니다. 그래서 일단 말을 잘 하려면 자신감부터 키워야 합니다. 자신감을 키우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아 ‘꾸준히, 오래, 지치지 않고’ (정신과 전문의 하지현 선생님의 새 책 제목입니다. 배울 점이 참 많은.. 2024. 9. 30.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