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이스탄불 여행 첫날, 아침에 일어나 트램을 탑니다. 트램은 이스탄불의 구시가지를 달립니다.
이스탄불의 전철은 3종류에요. 지상으로 달리는 트램이 있고요. 아예 깊은 땅속으로 다니는 푸니쿨라가 있고, 우리에게 익숙한 메트로(지하철)가 있어요. 유적의 도시다운 대중교통 설계네요. 함부로 땅을 파면 고대유적이 나오거나, 인근 오래된 건축물에 균열이 갈 수 있으니, 구도심에는 지하철이 없어요. 지상으로 달리는 트램이 있고요. 지하철을 만들 때는 아예 땅속 깊이 들어가는 푸니쿨라를 만들어요.
탁심과 카바타스를 오가는 푸니쿨라.
땅속 깊이 내려가기에 이런 커다란 도르래로 전철을 움직입니다.
처음 간 곳은 블루 모스크. 아야 소피아에서 걸어서 5분 거리에 있습니다. 1616년에 지어진 건물입니다. 537년에 지어진 소피아 대성당에 대응해, 이슬람 최고의 건축물로 만들려고 했으나...
비교대상이 코 앞에 있다는 건 얼마나 슬픈 일인가요. 1000년 전에 지어진 선조의 업적을 넘어서기가 쉽지 않네요. 블루 모스크는 별 감흥없이 봤는데요. 소피아 대성당 앞에서는 멍하니 서 있었어요. 아, 1500년 전에 저런 건물을 지을 수 있었구나. 어떻게 저런 일이 가능했을까?
아야 소피아는 동로마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로마 제국의 영광을 새로운 수도, 콘스탄티노플에 재현하려고 만든 성당입니다. 그 시절, 도대체 어떻게 이런 건축물을 만들 수 있었을까요? 궁금증이 생겨, 한국인 단체 여행객을 찾아다녔어요. 가이드 중에는 이걸 설명해주실 분이 있을 것 같아서요. 혼자 배낭여행 다니며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는 투어 가이드의 이야기를 귀동냥하며 듣습니다. 어느 가이드 분이 한국인 투어 팀에게 묻더군요.
"아야 소피아를 만든 건축가는 누구일까요?"
저도 궁금해 그 분의 입만 쳐다봅니다.
"정답, 없습니다. 아야 소피아는 건축가가 지은 건물이 아닙니다."
황제가 건축가들에게 5년 안에 대성당을 지으라고 명했더니, 다들 안 된다고 했대요. 당대의 건축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요. 결국 황제의 명을 받든 건, 철학자 이시도로스였어요. 당대의 기술로는 불가능하지만, 이시도로스는 기하학의 원리를 이용해 대성당을 짓습니다. 이론상으로 가능하다면, 실천도 가능하리라 믿으면서요.
해 본 사람이, 못 해본 사람을 못 당할 때가 있어요. 안 되는 이유만 대는 해 본 사람과, 해 본 적은 없지만 어떻게든 해보려는 사람, 둘 중 결국 해내는 건 후자거든요.
이시도로스는 건축가가 아니에요. 그래서 건축에 굳이 공을 들이지 않아요. 대신 기존 건축물을 가지고 조합을 새로 합니다. 기독교의 등장 이후, 그리스 로마의 신들은 용도 폐기되었어요. 곳곳에 흩어져있는 낡은 그리스 신전을 뜯어옵니다. 에페수스에 있던 아르테미스 신전의 기둥 중 하나도 그때 소피아 성당의 일부가 됩니다.
단일 재료로 단일 색채를 낸 건물이 아니라, 모자이크처럼 다양한 재료가 어우러진 덕에 소피아가 더욱 신비한 느낌을 주나 봐요.
당대 최고의 학자가 만든 아야 소피아, 서기 537년에 완성했는데요. 1000년이 지나 동로마 제국은 1453년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받습니다. 이슬람군의 공세에 맞서 마지막까지 싸운 곳이 소피아 성당이었어요.
52일간 7천명이 성당 안에서 싸우며 버티는데요. 술탄이 명을 내립니다.
"항복하라. 항복하지 않으면 씨를 말린다."
동로마 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플을 정복한 술탄은 도시의 이름을 이스탄불이라 바꿉니다. 하지만 정교회를 믿는 사람들에게 신앙의 자유를 허락합니다. 곳곳에 있는 성당도 보존하고요. 아야 소피아는 위대한 술탄이 보존한 유적이에요.
이슬람 모스크로 사용되다, 훗날 터키의 국부인 아타투르크가 박물관으로 용도 변경하지요. 이 또한 관용의 상징이에요. 아야 소피아를 특정 종교의 성지로 남겨두기보다, 모든 인류가 감상할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 바꾼 거죠.
이스탄불 거리를 걷다보면 곳곳에서 터키의 국부, 무사타파 케말의 초상화를 만나요.
거리마다 펄럭이는 깃발을 처음 봤을 때는, 살짝 거부감도 들었어요. 저는 개인의 우상화를 좋아하지 않아요. 위대한 개인의 업적에는 많은 이들의 희생이 따릅니다. 함께 싸운 다수가 더 소중하다고 믿어요. <중동은 왜 싸우는가?>를 읽으며, 무스타파 케말이 왜 독립을 위해 싸웠는지, 어떻게 싸웠는지, 싸움에서 이기고 어떻게 했는지를 보며, 존경심이 새록새록 돋아났어요.
터키 여행을 준비중이시라면, 혹은 다녀오신 분이라면 <중동은 왜 싸우는가?>를 권해드립니다. 알고 보면, 또 달라요.
2018/12/03 - [공짜 PD 스쿨/짠돌이 독서 일기] - 중동은 왜 싸우는가?
무엇보다 500년 간, 모스크로 쓰이던 공간을 온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돌려놓은 건 무스타파 케말의 업적이라 생각해요.
아야 소피아를 보며 남은 2가지 생각.
'제국은 다양성 위에 만들어진다.'
'건축가는 아야 소피아를 못 만든다.'
한 나라가 위대한 제국이 되기 위해 다양성을 포용해야하듯, 위대한 삶을 꿈꾸는 개인은 다양한 삶의 경험을 포용해야 하는 게 아닐까요? 새로운 직업이나, 새로운 경험에 도전하는 일을 두려워하지 말아야겠어요. 1500년 전, 철학자로서 건축에 도전한 이시도로스처럼.
다음엔 톱카프 궁전 여행기로 찾아올게요!
'짠돌이 여행예찬 > 짠돌이 세계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10) | 2019.02.12 |
---|---|
톱카프 궁전에서 본 술탄의 삶 (12) | 2019.01.30 |
이스탄불 탁심 거리 (9) | 2019.01.10 |
이즈미르의 항구도시, 쿠사다시 (9) | 2019.01.08 |
이즈미르의 쉬린제 마을 (9) | 2019.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