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짜로 즐기는 세상/고독한 인생 수업

노후의 행복을 위한 3가지 관리

by 김민식pd 2022. 3. 21.

탁구장에서 만난 노인과의 대화가 이어집니다. 저를 잠시 살피더니 그러십니다.

"오십대라, 참 좋을 때네요?"

뭔가 그리운 표정이네요. 50이 좋을 때라니 쑥스럽니다. 


"아이고, 어르신, 저도 이 나이 되면 사는 게 좀 편할 줄 알았는데, 여전히 힘들던데요?"
노인이 씩 웃습니다.

"그 나이에야 오줌발도 시원시원하고 아무거나 먹어도 될 텐데, 뭐."
"나이 오십이 넘어가니 몸이 여기저기 하나씩 고장 나더라고요. 벌써부터 이러면 노후에는 어떡하나 덜컥 겁이 납니다."
"미리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살다보니 세상은 꾸준히 좋아져요. 의술도 나아지고, 기술도 발달하니, 지금은 고칠 수 없는 병이라도 나중에는 별 거 아닐 수 있어요.  내가 어쩔 수 없는 문제를 걱정하는 것보다는 지금 내가 대비할 수 있는 게 뭔지  찾는 게 중요하지."

문득 책에서 읽은 대목이 생각납니다.
"제가 어떤 책에서 봤는데요. 노후의 행복을 위해서는 3가지 관리를 해야 하더라고요."
"자산관리, 건강관리, 관계관리, 맞나?"
"어? 어르신도 아시네요?"
"<노후파산>이라는 책에 나오는 이야기 아닌가. 그 책을 읽고 나도 꾸준히 실천하고 있거든. 자산관리는 위험한 투자를 하는 대신 안전자산을 늘리고 연금에 집중해야 한다는 거. 건강관리의 중요성이야 당연한 거지만, 그래도 노후에 건강해야 의료비 지출도 줄이고 돈도 벌 수 있다는 거지. 끝으로 관계관리란 건 여자 노인의 경우 친구 관계가 좋아야 노후가 즐겁고, 남자의 경우 부부 금슬이 좋아야 행복하다, 그런 내용이었지, 아마."

어르신의 말씀에 깜짝 놀랐어요. 책의 핵심을 정확히 짚고 계시네요.
"선생님, 제가요, 노후의 행복을 위해 그 세 가지를 잘 관리해보려고 노력 중인데요. 문제는 세 번째, 관계관리예요. 요즘 아내랑 대화하는 게 어려워요. 다른 사람이랑 이야기하다 상처받는 일은 잘 없는데요. 아내가 뭐라고 하면 자꾸 삐치고 속상하더라고요."
"가까운 사람의 말이 더 예리하고 아픈 법이지. 부인과의 관계가 왜 힘든지 생각해 봤나?"
처음 뵌 어르신께 별 소리를 다 한다 싶지만, 한편으로는 모르는 분이니 더 편하게 고민을 털어놓을 수도 있겠지요.

"제가요, 나이 오십이 되니까요 고집이 늘더라고요."
노인이 빙긋이 웃으십니다.

"잘 살았나 보네."

"네?"

"늙어서 고집이 생긴다는 건, 그만큼 잘 살았다는 뜻이기도 하지."
"그런가요?"
"나름 잘 살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금 내 삶에 큰 문제가 없으니 굳이 살아온 방식을 바꿔야 할 필요도 못 느끼고, 남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도 없는 거지요."
"선생님 말씀도 맞지만, 다른 사람 말을 안 들으니까 외로워지는 것 같아요.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이 아집과 독선으로 이어지니까요."
"결혼한 지 얼마나 되었어요?"
"20년 조금 넘었습니다."

  
노인은 잠시 보온병에 든 차를 드시며 목을 축인 후 다시 말씀을 시작하십니다.

"같이 산 시간이 길면 내가 상대방을 잘 안다고 생각하는데 그래서 더 위험해요. 상대의 말을 툭툭 끊고 들어가거든. 끝까지 듣지도 않고 다 안다고 착각해요. 부부 사이라도 서로를 온전히 이해하는 건 정말 어려워요. 내가 옳다는 고집을 내려놓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자꾸 돌이켜봐야 하거든."

"그런가요?"
"고집이 센 사람은 어쩌면 자존감이 약한 걸 수도 있어요. 진짜 자존감이 강한 사람은 쓸데없는 고집을 부리지 않아요. 상대방의 의견도 존중하고 들어주는 여유가 생기거든. 대화에도 스킬이 필요해요. 말싸움에서 이기려고 빈정대거나 조롱해서는 안 돼요. 한 마디 말로 싸움에서 이길진 몰라도 상대방에게 오래가는 상처를 남기거든. 타인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배려와 예의를 갖추고 시간과 공을 들여야 해요."
"구구절절 옳으신 말씀입니다. 제가 말을 잘한다고 생각했는데, 언제부터인가 잘 듣지는 않더라고요. 그래서 부부 상담을 하시는 선생님을 만나 도움을 청했습니다.  아내에게 상처 주는 말도 하고, 또 아내의 말에 상처 받는 일도 많다고 했더니 선생님이 제게 대화 수업을 권해주셨어요. 일주일에 한 번씩 ‘연결의 대화’라는 수업을 들었지요. 열 명 넘는 이들이 모여 수업을 듣고 일상에서 상처 주는 대화에  대해 사례 공유도 했고요. 선생님이 강의한 내용을 휴대폰 화면에 저장해두고 틈만 나면 들여다보며 연습하고 있습니다."



‘연결의 대화’ 수업에 따르면, 외부에서 자극이 올 때 머릿속에 번뜩 떠오르는 생각이 있어요. 판단, 비난, 강요, 당연시, 비교, 합리화, 이 여섯 가지 생각이 자동으로 떠오릅니다. 이것이 대화를 할수록 어려워지는 이유죠. 툭 떠오르는 자동적 생각을 진실이라고 믿는 순간, 우리의 갈등이 깊어지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아내의 조언을 자동적으로 ‘비난’이나 ‘강요’로 받아들인다면, 대화가 싸움으로 번지는 건 시간문제입니다. 

“자극과 반응 사이에 공간이 있다. 그 공간에서의 선택이 우리 삶의 질을 결정짓는다.”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쓴 빅터 프랭클이 한 말입니다. 상대의 말을 듣고 바로 발끈해서 반응하기보다 여유를 갖고 나의 감정과 욕구를 살펴보는 게 답인데요. 이게 사실 실천은 참 어렵습니다.

(탁구장에서 만난 노인과의 대화는 다음 편에서 이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