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짠돌이 독서 일기

쓰고 싸우고 살아남는 삶

by 김민식pd 2020. 5. 8.

100년 전 여성은 사회문화 활동에서 배제된 존재였어요. 학교도 보내주지 않는 부모가 많았고요. 가난 탓에 하고 싶은 일을 못하고 산 이들이 많아요. 힘든 여건 속에서도 글쓰기로 자신을 찾아간 이들이 있어요. <쓰고 싸우고 살아남다> (장영은 / 민음사)에서 글쓰는 여성의 이야기를 만났어요.

책에서 처음 소개되는 작가는 마르그리트 뒤라스입니다. 프랑스 식민지였던 베트남에서 태어난 백인 소녀. 다섯 살 때, 아버지가 풍토병으로 돌아가시고 가세가 기울어요. 파산한 후, 어머니는 아들에게 집착하고 딸을 학대합니다. 똑똑한 딸에게 관심을 가지는 남자가 나타나면 남자의 재력을 살핍니다. 소설가가 되고 싶다는 딸에게 “그건 가치도 없고, 직업이라고도 할 수 없으니, 일종의 허세에 불과해.”라고 말합니다. 

‘“허세에 불과한” 글쓰기라는 취미를 가질 수 있는 사람은 생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부자들이었다. 명민한 뒤라스는 거꾸로 생각했다. 부자들만 글을 쓸 수 있다면, 반대로 글을 써서 부자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18쪽)

어려운 환경에서도 글쓰기를 통해 경제적 자립을 꿈꾼 작가가 쓴 소설이 훗날 영화 <히로시마 내 사랑>과 <연인>의 원작이 됩니다. 어릴 적 좋아했던 영화 원작자에게 이런 사연이 있는 줄은 몰랐어요. 영화도 좋지만, 작가의 삶은 더 큰 감동을 줍니다.

<빌러비드>를 쓴 토니 모리슨은 흑인 여성 작가가 찾아보기 어려운 시절에 작가로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백인과 흑인, 양쪽에서 공격을 받았지요. 백인들은 모리슨이 흑인을 소재로 글을 쓰는 변방의 작가라고 폄하했고, 흑인들은 모리슨이 가정 폭력, 알코올중독 등 흑인 사회의 끔찍한 문제들을 다룬다고 비난했지요. 힘든 상황에서 토니 모리슨은 어떻게 버텼을 까요? 그는 아주 어린 시절부터 말과 글의 힘을 믿었답니다. 

“저는 세 살 쯤 되었을 때 언니와 함께 조약돌로 보도에 글자를 쓰곤 했습니다. 우리 집에서 한 블록 떨어진 울타리에 어떤 단어가 검정 페인트로 크게 적혀 있었는데, 우리는 그 글자를 따라 쓰기로 했습니다. 우리는 에프(f)를 쓴 다음 유(u)를 썼지요. 그러자 어머니가 고함을 지르며 계단을 내려오더니 ‘가서 빗자루 가져와. 물도 한 통 가져오고. 너희 대체 왜 그러니?’라고 말했습니다. 아무튼, 그때 저는 말의 힘에 대해서 두 가지 사실을 배웠습니다. 말은 어머니를 완전히 기겁하게 만들 수 있었지요. 또 조약돌로 보도에 글자를 쓰는 것만으로도 아주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었습니다.”
토니 모리슨은 자신에게 쏟아지는 관심과 비판을 모두 “폭발적인 반응”이라고 해석하며, 작가로서의 자존감을 회복했다.
(165쪽)

자신이 겪은 일에 대해 글을 쓰는 사람은 비판에 직면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그냥 입 다물고 조용히 넘어가기를 바라거든요. 하지만 인종차별이나 성차별에 대해 용감하게 발언하고 글을 쓰는 사람들 덕분에 세상은 조금씩 앞으로 나아갑니다.   

우리가 빚진 여성 작가의 이름이 연이어 나오는데요. 그중 하나는 가네코 후미코입니다. 영화 <박열>에서 조선인 독립운동가 박열의 연인으로 나온 일본 여성이지요. 1920년에, 일본 여성이 식민지 조선 출신의 유학생, 그것도 다소 과격한 사상을 가진 유학생과 동거하며 일본 제국주의와 싸웠다는 게 정말 놀라웠어요. 천황 암살 모의를 이유로 두 사람은 사형 선고를 받습니다. 사형수가 된 가네코 후미코는 남은 시간을 자서전을 쓰는 데 열중합니다. 

“가까운 시일 안에 형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나는 서둘러 자서전을 쓰고 있습니다. 이것이 출판되어 하나라도 내게 공명해주는 사람이 세상에 있다면 그것으로 만족하며, 나의 시작부터 생명이 끝나는 날까지 이 세상의 절멸과 나의 죽음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거라 믿고 있습니다.” 1926년 4월 가네코 후미코는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석 달 뒤 자살을 감행하여 천황의 ’은사‘에 저항했다.’
(182쪽)

가네코 후미코가 남긴 글 덕분에 우리는 박열이라는 조선 독립 운동사의 중요한 인물을 만날 수 있게 됩니다. 내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 중 하나는 그것을 기록으로 남기는 일입니다. 내가 독립운동가도 아닌데, 무슨 글을 쓰느냐고요? 책에 나오는 많은 이들은 다 가부장적인 아버지로부터 독립, 차별적인 사회의 압박에서 독립, 경제적 고난으로부터 독립을 위해 싸운 사람들이에요. 저는 글을 쓰는 사람은 누구나 정신적 경제적 독립을 위해 싸우는 사람이라 생각합니다.

쓰고 싸우고 살아남는, 모든 삶을 응원합니다. 

 

 

반응형

'짠돌이 독서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간 5권, 간단한 리뷰  (10) 2020.05.14
작가의 일은 기다림의 연속  (9) 2020.05.11
신입 직원에게 해주고 싶은 말  (9) 2020.05.07
만화에서 배운 생존철학  (8) 2020.05.06
관계가 힘든 아이들에게  (15) 202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