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면서 내가 가장 경계하는 것은 삶이 복잡하게 변하는 것이다. 복잡해지면 초심을 잃는다. 이런 저런 관계들 속에서 헤매기 쉽다. 그냥 나는 내가 좋아하는 것에만 집중한다. 책, 영화, 만화... 철들지 않고, 내가 좋아하는 것만 하다가 가는게 내 소박한 꿈이다.
며칠전 '아태이론물리센터'에서 한 '책 대 책'이라는 강연회에 다녀왔다. 스티븐 호킹의 '시간의 역사'와 '블랙홀 전쟁'에 대한 강연이었는데, 내용은 다소 어려웠다. 이론 물리학자들의 책 이야기가 욕심나서 찾아간 자리였지만, 역시 내게 재밌는건 우주 이야기보다 사람 이야기였다.
(사진 출처 웹진 크로스로드. http://crossroads.apctp.org/?directURL=/myboard/read.php%3Fid%3D9%26Board%3D0019)
그날 들은 강연 중 제일 재미난 대목은 물리학자들의 기행이었다. 제리 브라운이라는 미국 학자는 늘 한가지 신발만 신었단다. 똑같은 하얀색 운동화 하나만. 이유는? 아침에 나올때, '오늘은 무슨 신발을 신어야하지?'라는 고민을 안하려고. 아인슈타인도 단순한 생활로 유명했다. 20년 이상 변화가 없는 삶을 유지했다. 아침이면 산책하고, 낮에는 강의하고... 소박한 2층 목조 가옥에서 20년을 살며 가구도 들여놓지 않았다. 주변 환경이 복잡하면 연구에 집중할 수 없다는게 아인슈타인의 믿음이었다. 성공한 학자들은 다 세상 사람들의 시선보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만 몰입하며 사는 사람들이다.
세상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게 뭔지도 모르면서, 세상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만 쫓아다니며 시간을 허비하는 사람들이 있다. 앞서 가지는 못해도 뒤처져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미국이나 일본에 시청률 40% 넘는 드라마는 없는데 유독 한국에 시청률 독점하는 드라마가 많은 이유? 시청률이 20%를 넘으면 그 다음부터는 군중심리가 작용한다. 직장이나 학교에서 대화에 소외되고 싶지 않아 따라 보게된다. 한국의 대중문화가 승자독식으로 가는 이유가 여기 있다. 1000만 영화는 나와도, 다양한 작은 영화는 나오지 않는 이유가 여기 있다. 한국 사교육의 문제도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아이가 좋아하는 게 뭔지는 몰라도, 옆집 아이가 받는 과외는 무언지 알아야한다. 남 눈치보고, 남들과 비교하다 인생 참 피곤해진다.
항해술에서 중요한건 지도를 읽는 법이다. 그럼 지도를 읽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배의 현재 위치다. 드넓은 세계를 아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세계에 지금 나의 위치다.
나는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하고 싶은가?
그 하나의 질문에 집중해서 삶을 단순화하라.
좋아하는 것만 하는 단순한 삶이 즐거운 삶이다.
즐거운 삶이 곧 행복한 삶, 성공한 삶이다.
너 자신에 충실하라.
당신 삶의 주인은 당신 한 사람뿐이니까.
반응형
'공짜로 즐기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우! 이토록 멋진 세상! (4) | 2011.11.19 |
---|---|
잘 좀 배웠으면 좋겠다 (3) | 2011.11.18 |
영업으로 배우는 세상 2 (7) | 2011.11.17 |
가진 것 쥐뿔 없어도! (9) | 2011.11.14 |
영업으로 배우는 세상 (2) | 201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