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짠돌이 독서 일기

빚이 없어야 자유다

by 김민식pd 2017. 5. 11.

나름 책을 많이 읽고, 경제 흐름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런 저도 이제껏 재테크를 해서 돈을 번 적이 없어요. 한때 남들 다 하는 주식을 했지요. 3천만원으로 시작해서 2년 지나니까 반토막이 나더군요. 그냥 뺐어요. 그래, 안전하게 저축을 하자. 수익률이 좋은 저축성 상품이라 해서 변액 유니버설 연금보험에 들었는데요, 5년 지나고 보니 수익률이 매년 마이너스, 돈을 넣을수록 손해나는 분위기. 결국 중도 해지를 했는데요, 알고보니 초기 사업비가 너무 많아 5년을 넣고도 500만원 넘게 손해보고 뺐어요. 변액 연금도 답이 아니네. 한창 아파트 경기가 좋길래, 그래, 역시 한국은 부동산이지, 하고 아파트를 샀어요. 2007년에 분당 아파트... ㅠㅠ 상투 잡았지요. 1억 빚지고 샀는데, 오히려 값은 2억 넘게 떨어지더군요. 고생고생, 빚을 갚고도, 1억 넘게 손해보고 팔았어요. 지금은 그냥 반전세로 삽니다. 주식이고, 펀드고, 부동산이고, 아무것도 안 해요. 재테크는 무슨...

최고의 재테크는 빚을 지지 않는 겁니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가지고 있는 자산의 범위 안에서 투자하는 거지, 빚지고 투자하는 건 너무 위험해요. 요즘은 빚을 지는 게 너무 쉬워요. 신자유주의란 곧 '빚의 일상화'입니다. 카드로 물건을 사고, 할부로 차를 사고, 대출로 집을 삽니다. 빚이란 미래 소득을 당겨서 쓰는 것입니다.

92년에 첫 직장에 입사했어요. 영업사원으로 일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주위에 '내가 더럽고 치사해서 일 그만둔다!'는 사람 많았어요. 하지만 그만두기 쉽지 않아요. 입사한 후, 차를 할부로 사고, 카드로 살림을 들이고, 대출받아 아파트를 사고 나면, 빚에 덜미 잡힙니다. 아무리 치사해도 회사를 다녀야 해요. 그때 깨달았어요.

'빚이 없어야 자유다'

저는 첫 직장을 다니며 열심히 돈을 모았어요. 월급을 받으면 무조건 다음날 절반을 저축했어요. 남은 돈으로 한 달을 사는 거지요. 만약 빚이 있었다면 사표쓰기 쉽지 않았을 거예요. 그냥 영어 잘 하는 세일즈맨으로 살았겠지요. 저축한 돈이 있기에 회사를 그만두고 나와서 새로운 인생을 꿈꿀 수 있었어요. 

<앞으로 5년, 빚없는 사람만이 살아남는다> (백정선, 김의수 / 비즈니스북스)

저금리 시대, 빚내기가 너무 쉬워요. 온갖 광고가 유혹하지요. 지금 사고 싶은 건 일단 사라고요. 돈을 빌려줄테니, 카드로, 할부로, 마이너스 통장으로 일단 지르라고 말입니다. 심지어 정부도 빚을 권해요. 부동산 경기를 띄워 저성장의 늪에 빠진 경제를 서민들의 빚으로 지탱하려는 속셈이지요.

'결혼 비용이나 아파트 전세, 내 집 마련과 같이 큰돈이 드는 일에 쉽게 빚을 내는 것은 그 빚을 갚는 데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고, 이자를 비롯한 금융 비용이 얼마나 나가는지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 데에 원인이 있다. 사람들 대부분이 빚을 갚는 데 걸리는 시간을 실제보다 짧게 생각한다. 예를 들어 1억원의 빚을 갚는 데 얼마나 걸릴지를 직장인들에게 물어보면 평균적으로 '15년'이라고 답한다. 하지만 실제 금융기관의 자료를 보면 평균 24년이 걸린다.'

(위의 책 118쪽)

무섭지 않나요? 1억 갚는데 24년이 걸린다는 자료? 24년 동안 빚의 노예로 살아야 합니다. 회사를 그만두고 싶어도 그만두지 못해요. 꼴통 상사를 만나도 치욕과 오욕을 견디며 24년을 버텨야해요. 

우리 시대의 빚은, 가난해서, 혹은 소득이 없어서 생기는 게 아니에요. 가난한 사람은 아예 은행에서 돈을 빌려주지도 않아요. 금융권에 호구잡히기 가장 좋은 사람이 안정적인 소득을 가진 이들이에요. 열심히 일하는 사람일수록 빚지기 쉬운 구조에요. 잘 버는 사람이 왜 빚을 지느냐? 열심히 살고, 교육에 열성인 부모일수록 빚을 지기 쉬워요. 학군이 좋은 동네로 이사가려다 주택 관련 채무를 지고, 학군이 좋은 동네에서 살다보니 사교육비 지출이 커집니다.

교육에 대한 우리의 욕심이 끝이 없어요. 영어 유치원 보내면, 방학에 필리핀 영어 캠프 보내고 싶고요, 캠프 보내면 조기 유학 보내고 싶고요. 조기 유학 간 아이는 돌아오기 싫어져요. 결국 미국에서 학사 석사 다 하고 싶어지지요. 교육에 돈을 한번 쓰기 시작하면 끝이 없어요.

저자들은 '교육비의 상한선'을 연봉의 15퍼센트로 정해두라고 충고합니다. 그 선을 넘기면 아무리 월급 안에서 지출하는 돈이라 해도 잠정적인 빚이라는 거지요. 당장은 수입이 지출보다 많은 것 같아도 정년퇴직으로 수입이 줄거나 끊기는 상황을 대비해야 합니다. 자녀의 대학 진학이나 결혼처럼 지출이 갑작스레 늘어나는 것도 준비해야 하고요.

우리는 점심 메뉴 하나를 고를 때도 가성비를 따집니다. 같은 돈을 들여서 더 큰 만족을 얻을 수 있는 길은 무엇일까? 가격 대비 성능비란, 분모가 가격에 분자가 만족도인 수식입니다. 가성비를 높이는 가장 쉬운 방법은 분모인 가격을 낮추는 길입니다. 가격 비교 사이트에 가서 검색해보세요. 가성비 높은 대부분의 제품은 일단 가격이 쌉니다. 비싼 제품이 돈 값에 걸맞는 높은 만족을 주기는 쉽지 않아요. 그런데 우리는 사교육을 시킬 때, 가성비를 따지지 않습니다. 아니, 따질 수 없어요. 결과가 눈 앞에 보이지도 않고, 인과관계가 뚜렷이 나타나는 것도 아니거든요. 한 달에 수십만원, 수백만원을 들여도 , 그 결과는 수십 년 후, 아이의 삶을 통해 나타납니다. 

연봉보다 빚의 규모가 우리의 노후를 결정한답니다. 노후 파산을 막기 위해서는 빚 정리의 기술이 필요하다네요.

<앞으로 5년, 빚없는 사람만이 살아남는다.>

경제는 잘 모르지만, 하나는 확실합니다. 빚이 없어야 자유에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