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61

인생, 끝까지 가봐야 안다 몇년 전 친구가 영화를 만들었습니다.  1930년대 일제시대에 태어나 한글을 배울 기회를 놓치고 전쟁통에 학교도 제대로 다니지 못하고 어른이 되어 힘든 시절 다 보내고 나이 70 넘어 동네 친구들과 함께 문해학교에서 한글을 배워 시를 쓰는 할머니들이 나오는 영화였는데요. 참 좋은 영화가 멀티플렉스에서 상영관을 잡지 못해 관객을 만날 기회조차 잡지 못하는 게 안타까워 극장을 대관하여 이곳 블로그 독자분들과 영화 감상회를 한 적이 있었지요.https://free2world.tistory.com/1990 금요일 저녁에 저랑 영화 보실 분? (신청 마감)평소 책을 읽고, 재미있으면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어집니다. 그래서 블로그에 독서일기를 올립니다. 이러저런 책이 있으니 관심 있는 분들 참고하시라고요. 영화 을 .. 2025. 1. 23.
시간의 주인이 되자 (새해 들어 '트레바리 독서모임'에서 시간관리를 주제로 책을 함께 읽고 있습니다. 클럽장이 쓰는 발제문을 공유합니다.) 도서관 강연을 가면 이런 질문을 받습니다. “피디님 인생을 바꾼 책은 무엇인가요?” 인생을 바꾼 단 한 권의 책을 고르기란 참 어렵습니다. 저는 수많은 책을 읽고 그 책에서 나온 조언을 꾸준히 삶에 적용하며 살아왔으니까요. 그래도 딱 하나만 고르라면 를 뽑겠습니다. 스무 살에 이 책을 읽고 제 인생은 바뀌었거든요.   알렉산드르 류비셰프는 1890년에 러시아에서 태어난 과학자입니다. 8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전공인 곤충분류학과 해부학은 물론 생물학, 유전학, 진화론, 철학, 역사학 등에 걸쳐 방대한 저서를 남긴 분인데요. 철저한 시간 관리와 왕성한 지적 호기심으로 신이 인간에.. 2025. 1. 20.
50대, 노후대비의 골든타임 유튜브 채널 에서 올린 인터뷰 2탄입니다. Q-1. 행복한 노년을 위해 꼭 준비해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몸과 마음이 건강한 노후를 위해 나는 오늘 무엇을 하는가? 늘 그것을 생각해보세요. 노후대비는 돈만 준비한다고 되는 게 아닙니다. 시간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준비도 필요해요. 우리는 평생 살면서 공부, 일, 여가 활동, 셋 중 하나를 합니다. 노후에도 이 세가지 활동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공부도 하고, 일도 하고, 여가도 즐기며 사셨으면 좋겠습니다. 나이 60넘어 일만 하면 체력이 고갈되고요, 놀기만 하면 권태가 찾아올 수도 있어요. 세가지 활동이 하루에도 순환하기를 소망합니다. Q-2. PD님이 추천하는 젊게 사는 법, 나이 먹지 않는 법이 있다면? 3가지 활동을 권합니다. 독서.. 2025. 1. 16.
나답게 살아가는 삶 좋은 삶이란 어떤 삶일까요? 타인의 시선이나 세상의 평가에 휘둘리지 않고 나답게 살아가는 삶 아닐까요? 나다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나 자신에게 자꾸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즐거운 사람인가? 인간관계에서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원칙은 무엇인가? 인생에서 반드시 지켜야 하는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가? 나라는 사람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원칙이 무엇인지 알아야 잘 살 수 있습니다. 삶에서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니까요. 고령화 시대, 우리는 퇴직하고 기나긴 노후를 보내야 합니다. 이때 꼭 필요한 질문을 던지는 책이 있습니다.  (권민/생각속의집) 저자는 20대에 광고 기획자 AE로 직장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광고 기획의 사회적 수명이 매우 짧다는.. 2025.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