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아침, 동네 도서관에 와서 다음책 원고 작업 중입니다. 20분 원고 작업을 하면 10분 정도는 쉽니다. 이때 도서관에서 빌린 책을 읽거나, 페이스북을 봅니다. 그러다 페친이 올린 글을 통해 윤종신 선생님이 구글에서 한 강연의 요약본을 봤어요.
<WorkBetterCompany> 강혁진 대표님이 올리신 글입니다. 강혁진 님의 허락을 얻어 블로그에서 공유합니다. 오늘의 외부 초청 강사는 윤종신 님입니다. 강연도 좋지만, 깔끔한 요약도 일품입니다.
---------------------------------------
https://youtu.be/O2mhfT3shw0
어제 오늘 페북에 돌고 있는 윤종신씨의 구글톡스(google talks) 강의 영상을 요약해봄. 내가 두고 보려고 정리하다가 페북에 공유 ㅎㅎ 마케터, 기획자들에게 도움되는 이야기가 많음.
———————
1. 하루 일과는 월간윤종신, 회사 일, 방송일, 가족일 조금. 이 패턴으로 10년 살아옴.
2. 월간윤종신에는 아카이빙을 꾸준히 하다보니 그 위력을 알게됨. 그 뒤로 어디가서 신곡 이야기가 아니라 ‘월간 윤종신’ 이야기를 하게 됨. 이제 10년 됨. 히트 하고 안하고가 의미가 없음. 월간 윤종신 자체가 유명해짐.
3. 유튜브는 너무 넓기도 하지만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유튜버이기 이전에 유저여야 함. 그래야 내가 만드는 컨텐츠의 특성을 알 수 있음. 내가 많이 봐야 내가 만드는 컨텐츠 썸네일을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알게 되기도 하고.
4. 예전에는 아티스트들이 2년을 준비해서 6개월 1년을 열심히 팔았다면, 지금은 1주일안에 승부를 보는 짧은 ‘축제’를 한다는 느낌. 국민가수는 없어. 조용필 선배도 조용필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가수야.
5. 음악은 날 좋아하는 사람들이 뭘 좋아하는지 안다고 해서 맞추기 쉬운건 아니야.
6. 신의 한 수라면, 월간윤종신을 한게 아니라 월간윤종신을 3년 이상 한 것이다. 생각보다 위기에 묘수는 없다. 생각보다 미련하고 꾸준히 버티는 것이 방법이다.
7. 남의 컨텐츠를 많이 듣지는 않는다. 계속 들으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트렌드는 없다. 트렌드는 미디어가 만들어 내는 것. 분석을 베이스로 창작하면 결국 팔로워. 취향 베이스의 컨텐츠는, 결국 국민가수와 똑같아. 1등하면 트렌드가 됨.
8. 좋은 가사를 만드는 비결? 쉬운 단어, 학교 다닐 때 국어 수업만 잘 들었으면 알 수 있는 단어들을 사용. 살아가는 순간순간, ‘기분, 감정, 느낌’ 이런 단어들을 좋아해. 누구나 느끼고 아는 기분, 감정을 환기시킬 수 있는 사람이 흔하게 느끼는 감정을 놓치지 않는 것. 매일 느끼는 감정을 두세줄로 표현하는 것. 메모광이긴함.
9. 좋아하는 곡은 버드맨. 가장 나 다운 곡. 영화 버드맨을 보고 만든 노래. 이제 나를 좀 알 것 같을 때 사람들이 찾아주지 않는 현실. 난 덜 익었다고 생각하는데, 사람들은 덜 익은 것을 좋아해. 내가 좋아하는 것과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이 일치하지 않을 때의 괴리감이 온다
10. 워라밸을 일부러 조절하고 배분하지는 않아. 제일 하고 싶은 것을 먼저 해. 하기 싫은 건 결과가 안좋았음. 그럴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것이 중요. 그게 어느 순간에는 회사일, 가정, 창작일. 근데 늘 창작일이 앞섬. 내 라이프의 1번은 창작.
11. AI가 음악, 엔터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나도 모르게 일상에 와 있는 것 같음. 아이들이 정보를 텍스트가 아닌 영상 검색을 하는걸 보고 충격 받음. 슈스케 나온 친구가 기타를 너무 잘쳐서 쉬운 코드를 주고 같이 합주하자고 했는데 기타 못친다고 함. 존 메이어의 연주 영상에 나온 손을 보고 1주일만에 따서 한 것. 그게 박재정. 직관으로 움직이는 세상이 됨. AI를 통해 이 과정은 더 빠르게 심화될 것. 우리와는 다른 사람이 되가는 것.
12. 예전엔 사람들이 자신의 취향을 모르는 도화지 같았다면, 이제 불특정 다수를 타겟으로 할 필요 없음. 취향이 고도화 됨. 근데 여전히 모두가 bts를 꿈꾸고 있음. 좋니는 100% 얻어걸린 것. 꾸준했기 때문에 일어난 일. 온 세상 사람을 다 움직일 필요는 없다. 내가 움직일 수 있는 사람만 움직이면 됨. 자기 밥그릇을 파악할 수 있는 시대가 ai 덕분에 오고 있다. 아무도 모르게 월간윤종신의 매출은 조금씩 늘어나고 있음. 조회수와 댓글 수 확인함. 생각지 못한 곡의 조회수가 늘기도 함. 길게 보면서 음악하는 중
13. 앞으로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가라면, 결국 기억하는 사람들의 몫. 내가 원하는 건 부질 없는 것. 다만 그들의 머리속은 상관하지 않음. 그들이 가진 이미지를 조절하거나 할 수 없음. 내 느낌 가는대로 사는게 중요. 내 철칙 중 하나, 내 치적을 정리하지 않는 것. 회고하기 보다, 내일을 생각하는 것이 중요. 과거를 생각하면 장식하고 치장하게 됨. 지난 것은 지난 것이고 내 과거는 구글과 유튜브에 치면 나오겠지(ㅎㅎ)
14. 더 하고싶은 분야가 있는지? 더 늙기 전에 더 여행 다니고 싶음. 이방인으로 살아본 적이 없음. 제일 오래 떠나본게 여행 1달. 진짜 외로워보지 않았다는 것. 늘 친구와 가족이 있었음. 창작자로서, 늘 편안했다는 컴플렉스가 있음. 휴지기의 여행이 아닌, 젊을 때 이방인으로 살며 외로움을 느끼고 창작을 하고 싶음.
15. 머신러닝을 통해 윤종신을 대체할 수 있는 AI가 나온다면 어떻게 할까?
: 과거의 행태를 기반으로 했다면, 내 창작물 분석에 대한 수익쉐어만 된다면 오케이. (ㅎㅎ) 그리고 그 시기가 되면 과거의 스타일에서 성장할 수 있음. 17~18세기부터 음악작업 방식은 동일함. 그때가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또 있을 것임. 특정 분야, 좁은 분야일지라도 거기서 아이콘이 되어야 함. 두루뭉술한 것은 안됨. 그러려면 내가 잘하는 뾰족한 것을 만들어야 함. 아티스트 마케팅에서는 제일 중요. ‘윤종신이 ㅇㅇ는 제일 잘하지’ 막연히 ‘걔 음악 잘해’ 이런걸로는 안됨.
16. 창작자로서 전략적으로 접근하려면..
: 음악은 취향의 다양화가 너무 심해. 릴리즈되는 음악이 하루에 수백개. 대박을 꿈꾸는 것 자체가 미련한 것. 월간윤종신의 운영 전략은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 었음. 나는 예능/비음악으로 돈을 벌고 있었기 때문에 월간윤종신의 예를 후배들에게 적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없음. 대박을 꿈꾸고 이기기 위한 전략은 거짓말이고 사기. 오래하기 위해 1년 간 뭘 해야 할지 정한 것. 여자가수랑만 콜라보 한다던가, 외부 곡들만 받는다던가. 그러다가 다시 월간윤종신 취지로 온다는것. 가장 중요한 것은 너무 멀리 바라보지 않는다. 가장 긴 미래가 1년. 그랬더니 시의성 있는 콘텐츠를 만들기 어려워.
17. 엔터에서는 광고 하되 광고하는걸 알리기 싫어함. 엔터 광고주 마음 사려면 어떻게?
: 3월부터 모 기업과 같이 하는데(아마 빈폴의 이제 서른 캠페인인듯). 이케아랑도 콜라보 함. 종종 콜라보 제안 들어옴. 광고는 광고라고 솔직한게 제일 좋을 듯. 오히려 댓글에 약빨았다는 댓글이 달려야 성공한 것. 반응이 안좋았다면 못 만든 광고일 것. 시디즈 에서 의자 주제로 광고 만들어달라고 해서 ‘기댈게’ 노래 만듦. 누가봐도 광고인데 숨기려 하지 않았음. 요즘 대중은 호락호락 하지 않음. 댓글러들의 크리에이티브가 대단함. 되려 그들의 크리에이티브를 즐겨야 함.
'공짜로 즐기는 세상 > 짠돌이 강연 수강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랜만에 강연 공지 올려요~ (17) | 2020.07.23 |
---|---|
피디가 강연하는 법 (14) | 2020.01.21 |
2019 독서일기 연말 결산 (11) | 2019.11.30 |
성장판 독서모임 강연 후기 (6) | 2019.08.31 |
나는 어떤 문제를 풀고 있나? (16) | 2019.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