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짠돌이 독서 일기

피해자가 치유자가 되기를

by 김민식pd 2018. 11. 16.

살다가 힘든 때가 옵니다. 내 뜻대로 되지 않는 인생이니까요. 제게는 세월호 참사가 그랬어요. 뉴스를 보는 게 하루하루 너무 힘들었어요. 방송사 직원으로 일하면서, 자식을 잃은 부모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뉴스를 보는 게 끔찍한 형벌이었어요. 이 죄과를 어떻게 받으려고 저런 뉴스를 만드는 걸까..... 세월호 이후, 한국의 언론은 '기레기'라는 호칭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졌어요. 그 시절 상처를 받은 이들에게 남긴 배신의 상처는 오래도록 낙인처럼 남을 겁니다.

그 시절을 생각하면, '아, 저 분이 없었다면 우리 사회는 어땠을까?'하는 분이 있어요. 바로 정혜신 박사님입니다. 2012년 MBC파업 중 정혜신 박사님이 파업 현장에 응원차 찾아 오셨어요. 아침에 탄 택시에서 기사님이 알아보시더래요. 어디 가시냐고 묻기에 MBC 노조 파업 지지 방문 간다고 했더니, 택시 기사님이 요금을 안 받으셨대요. 당시 박사님의 말씀이 파업하던 조합원들에게 얼마나 큰 힘이 되었는지 모릅니다. (그랬던 시절이 있었는데... 세월호 이후 많은 것이 바뀝니다...)

(2012년 당시 MBC 조합원이 올린 트위터에 정혜신 박사님 모습이 보이네요.)

쌍용차 해고자들이 연이은 죽음으로 괴로워할 때, 세월호 유가족들이 힘들어할 때 정혜신 박사님은 그들 곁에 달려가 함께 고통을 나누고 위로합니다. 그 큰 고통을 어떻게 위로할 수 있을까요? 선생님이 내신 책을 읽었습니다. <죽음이라는 이별 앞에서> (정혜신 / 창비)

삶과 항상 죽음과 맞닿아있습니다. 우리는 영원히 살 것처럼 하루를 살아갑니다. 그러다 문득 찾아온 죽음앞에 우리의 삶은 무너지지요. 이럴 때 서로를 지탱해줄 안전망이 필요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사회안전망은 내 가족이나 친구처럼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혹은 내게 그런 일이 생겼을 때 그 고통을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이 한 사람이라도 곁에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게 없으면 한 사람이 자신의 생을 건강하게 건너가기 어렵습니다. 결국 삶이 무너지게 됩니다.

(위의 책 24쪽)

지난 10년 국가 폭력에 다친 사람이 너무 많아요. 용산 참사도 그렇고요. 백남기 농민도 그렇듯이, 국가 공권력에 의해 다친 사람이 많아요. 세월호 참사도 기업의 탐욕이 원인이라지만, 대응과정에서 보여준 국가의 태도는 폭력에 가깝지요. 문제는 국가의 폭력에 의해 희생된 사람의 가족은 어디에 가서 하소연하기도 쉽지 않아요. 물론 국가만이 가해자는 아니에요. 대구지하철 참사에서 보듯 개인의 분노가 참사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고통은 분노로 이어집니다.


끔찍한 고통을 당한 사람이 '이런 세상 망해버렸으면 좋겠다' '전쟁이나 터졌으면' 하는 마음을 품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통 때문에 마음이 비뚤어지는 거지요.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뒤틀어지는 겁니다. 그때부터는 사소한 이유로도 다른 사람들과 계속 부딪치는 시한폭탄 같은 사람이 됩니다.

이런 사람들로 가득한 세상에서 살아가는 일은 생각만 해도 무섭습니다. 사회적인 비용도 엄청나게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갈등 때문에 제대로 된 삶을 시작도 못해보는 사람도 많아질 겁니다. 슬픔과 고통에 압도되지 않고 그것을 직시하며 함께 이야기를 나눌 사람이 단 한 명이라도 있는 것이 사회안전망이라고 한 이유가 바로 이 때문입니다. 

(위의 책 60쪽)


누군가 고통을 당할 때 모두가 외면하면 그 사람은 괴물이 될 수도 있고요. 달려가 그의 아픔을 나누면 그 사람은 치유자가 될 수도 있대요. 블로그에서 가끔 저는 고교 시절 학교 폭력을 당한 적이 있다는 고백을 합니다. 왕따였다고요. 부끄러운 일이지만 자꾸 이야기하는 이유가 있어요. 지금 학교에서 그런 일을 겪는 청소년들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거에요. 그런 일을 겪고도 어른이 되어 즐겁게 살 수 있다는 것을. 정혜신 박사님은 세월호 희생자의 중학교 친구 이야기를 하십니다.

한 친구는 희생 학생의 중학교 동창인데 세월호 참사로 친구를 여러명 잃은 아이였어요. 이 친구가 참사 후 너무 고통스러워서 죽으려고 아파트 옥상에 몇번이나 올라갔답니다. 그런데 결국엔 죽지 못하고 내려왔대요. 왜 그랬는지 물으니 친구를 잃은 고통이 얼마나 큰지 너무도 잘 알기 때문에 내려올 수밖에 없었다고 하더라고요. 자기가 여기서 떨어져서 죽으면 자기 친구들이 평생 동안 어떤 고통을 겪을지 너무 생생하게 느껴져서 차마 죽을 수 없었다고요.

(위의 책 41쪽)


이 대목을 읽으며 갑자기 부끄러워졌어요. 저도 고교 시절에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어요. 복수심에서. 나를 괴롭히는 아이들과 나를 때리는 아버지에 대한 복수로 자살을 꿈꿨어요. 그들에게 할 수 있는 복수는 죽음뿐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요, 생각해보니... 왕따를 당하다 자살하면, 나를괴롭힌 아이들은 잘 살고, 괴롭힘을 당한 불쌍한 나만 죽는 거더라고요. 무엇보다 그렇게 죽으면, 아이들이 죄책감을 느끼기는커녕 외려 비웃을 것 같았어요. "아, 저 찌질한 **는 끝까지 찌질하게 구네...." 잘 사는 게 복수라고 생각했어요. 괴롭힘을 당한 나도 보란듯이 즐겁게 행복하게 살아야겠다고요.

강연을 시작한 계기가 있어요. 고등학교에서 진로 특강 요청이 오면 열심히 다녔어요. 나처럼 왕따로 고민하는 친구가 있다면, 가서 위로해주는 사람이 되자. 최대한 재미난 이야기로 학생들을 웃깁니다. 예쁜 여배우들이나 아이돌 가수들과 일하는 즐거움에 대해 이야기해요. 그러고는 마지막에 가서 그러지요. '난 고등학교 때 왕따였다. 그런데 어른이 되니 고교 시절의 괴로움은 사라지고, 즐거운 일들만 계속 되더라'고요. 내가 좋아하는 일을 꾸준히 하는 것으로 어린 시절의 고통은 잊을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살면서 고통이 오면, 그 고통을 소재로 글을 씁니다. 언젠가 그 글을 읽는 사람이 '아, 저 사람도 나처럼 힘들었구나...' 하고 공감하고, 위로가 되기를 바랍니다. 고통이 없기를 바라면 좋겠지만 그걸 바랄 수는 없어요. 사는 것은 고통과 함께 가는 길이니까요. 죽음과 삶이 맞닿아 있듯이. <죽음이라는 이별 앞에서> 고통을 어떻게 안고 살아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책입니다. 

책을 읽고 다시 선생님의 새 책 <당신이 옳다>를 읽었어요. 다음에는 서로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 삶에 대해 고민해볼게요. 


반응형

'짠돌이 독서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승태 작가 덕질일기  (6) 2018.11.26
횡단보도 위의 정의  (3) 2018.11.23
50, 세상에 진 빚을 갚는 나이  (9) 2018.11.12
노력이 폭력이 될 때  (14) 2018.11.07
성공의 기준이 너무 높다  (12) 2018.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