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짠돌이 독서 일기

콘텐츠 제작의 위기

by 김민식pd 2018. 8. 30.

누구나 콘텐츠를 공급하고 배포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블로그가 그렇지요. 블로그는 누구나 할 수 있는데요, 그러다보니 난관이 생겼어요. 하나는 주목받기가 어렵다는 것이고요, 둘째는 대가받기가 힘들다는 거지요. <콘텐츠의 미래>라는 책에서 이 문제는 단순히 블로거의 문제가 아니라 미디어 기업들이 직면한 당면과제라고 말합니다. 


방송 채널이 4개밖에 없던 시절에는 누가 적인지, 경쟁사의 전략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판단하기 쉬웠다. 채널이 900개가 넘고 수백만 개의 비디오 영상이 밀려오는 오늘날의 상황에서는 자기가 생산하는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알리기조차 쉽지 않다. 이런 현상을 ‘주목받기의 문제’라고 해두자.

비용을 거의 들이지 않고 콘텐츠가 확산된다는 말은 일단 콘텐츠를 생산한 이후에는 관리가 아주 힘들다는 뜻이기도 하다. (중략) 노래나 영화는 음반사나 제작사가 발표도 하기 전에 이미 파일 공유 사이트에서 돌아다니는 일도 허다하다. 단 한건의 침해 행위가 다양한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두 번째 문제가 발생한다. 제공한 제품에 대한 비용을 부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를 ‘대가받기의 문제’라고 하자.

이 문제들은 따로따로 상대해도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하물며 두 가지 문제가 함께 공격한다면 콘텐츠 비즈니스는 그야말로 파멸의 위협에 놓이게 된다. 

(위의 책 35쪽)


블로그를 처음 만들었을 때 한동안 힘들었어요. 사람들이 오지 않더라고요. 블로그 초기에 쓴 글을 보면, 가끔 민망할 때가 있어요. 보는 사람이 없으니, 그냥 하고 싶은 얘기를 막 했더라고요. 더 잘 쓰고 싶은 욕심에 매일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있지만, 갈 길은 여전히 멉니다. 그래도 꾸준히 찾아주시는 독자분이 생겨서 정말 감사한 마음입니다. 드라마를 만들어도 예전처럼 주목받기 쉽지 않아요. 드라마의 수가 너무 많거든요. 공중파 광고 시장이 어려워지면서 제작비 회수도 쉽지 않고요. 미니시리즈의 경우, 손해 보는 드라마도 꽤 많아요. 이제 방송사도 고민의 시간입니다.   


오늘날 많은 기업이 ‘콘텐츠’냐 ‘플랫폼’이냐 하는 선택을 두고 고민에 빠져 있다. 신문사는 상근 기자를 두고 콘텐츠를 생산할지 아니면 다른 사람들이 생산한 콘텐츠를 종합하는 역할만 할지 고민하고 있다. 넷플릭스와 아마존은 다른 곳에서 만든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의 대량 수집과 자신만의 프로그램 제작 사이에서 균형을 찾고자 노력중이다.

(위의 책 82쪽)


콘텐츠 비즈니스는 언제나 콘텐츠 자체로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려 한다. 그런데 이것이 함정이다. 콘텐츠의 힘은, 네트워크 효과의 강력함을 지닌 사용자 연결의 힘에 점차 눌리고 있다. 

(위의 책 86쪽)


요즘 넷플릭스를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합니다. MBC의 편성책임자는 어떤 프로그램을 몇 시에 편성할까를 고민하는데, 여기 직원은 사용자 환경만 고민하는구나. 즉 우리는 대한민국 전 시청자의 평균 취향에 맞추기 위해 고민할 때 넷플릭스는 오로지 사용자 한 사람의 취향만 고민하는데요. 그 답은 사용자가 스스로 내줍니다. 자신이 즐겨보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좀비 영화를 좀 봤다싶으면 좀비물을 추천하고, 코미디를 좋아하면 스탠딩 코미디 쇼를 접속 화면에 띄워 우리의 눈길을 사로잡아요. 시청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취향을 저격하는 플랫폼. 아, 이건 참 쉽지 않은 싸움이 될 것 같습니다.


디지털 콘텐츠가 전통적인 미디어 기업에 불러올 대재앙은 무엇일까요? 콘텐츠 제조와 유통에 따른 고정비용의 부담입니다. 아마존의 킨들이 나오면서 전자책이 활성화되고 있는데요. 이는 기존의 종이책 출판사에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출판사가 종이책 판매의 일부를 e북 때문에 잃었다고 해봐요. 종이책의 판매수량이 30퍼센트 떨어진다고 해도 제작과 판매에 필요한 기반시설, 즉 인쇄소, 창고, 고객주문처리, 유통 지원에 필요한 고정비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인쇄와 전자가 혼합된 세상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인쇄 부분의 고정비는 꿈쩍도 않는데 판매수량은 70퍼센트로 줄어드니 고역이다. 그 결과 종이책 판매가 조금만 줄어들어도 이익의 급격한 추락으로 이어진다.

(위의 172쪽)


출판업계가 맞은 위기가 현재 한국 공중파에 드리워진 암운과 정확히 겹칩니다. 공중파 역시 고정비가 많은 기업입니다. 공중파는 말 그대로 공중에 쏘아지는 전파, 즉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시청할 수 있는 공공재입니다. 그렇기에 남산 중계소 등 전국에 송출장비 및 중계 장비를 만들고 유지해야 해요. 난시청 지역 해소를 위해 깊은 산속에 중계 기지를 세우고 기술 인력을 파견하지요. 이게 다 비용입니다. 종편이나 게이블 방송은 그런 고정비가 없어요. 그냥 기존의 인터넷 망이나 케이블 TV에 편승하면 됩니다. IPTV나 케이블 방송 초기에는 공중파 3사에서 만든 고품질 콘텐츠가 기여를 했어요. 초기 가입자는 KBS, MBC, SBS 방송 3사에서 만든 프로그램을 손쉽게 볼 수 있다는 생각에 가입을 했어요. 수많은 케이블 채널이 함께 제공되기는 하지만, 초반에는 그 영향력이 크지 않았습니다. 이제 가정에서 인터넷 사용이 늘어나면서 IPTV나 케이블 보급이 늘어났고요. 공중파는 무수하게 많은 방송채널 중 N분의  1이 되었지요. 그럼에도 고정비는 줄지 않아요. 오히려 UHD 방송 기반 확보를 위해 더 많은 기술 인력과 장비 투자가 필요한데요. 중간광고 등에 있어 광고 규제는 케이블이나 종편보다 더 심합니다. 방송 기술의 발전으로 비용은 더 들어가는데, 인터넷 광고 시장의 확대로 수입은 더 줄고 있어요. 공중파의 위기는 피할 길이 없어 보입니다.


‘콘텐츠의 미래’라고 제목을 번역했지만, 원제는 Content Trap 즉, 콘텐츠의 덫이에요. 지금 공중파의 상황이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덫에 빠져 있어요. 특히 지난 10년 공중파의 위상은 몰락했지요. 앞으로 어떻게 일해야 할 것인가, 책을 보면서 고민이 점점 깊어집니다. 책은 콘텐츠도 중요하지만 사용자와의 연결이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저 역시 위기 탈출의 답은 시청자에게 있다고 생각해요. 그동안 공중파가 시청자의 외면을 받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깊이 들여다보고 반성하고 개선해야합니다. 갈 길이 멉니다. 그럴수록 신발 끈 단단히 매고 길을 나서야해요. 


저는 MBC를 지키고 싶습니다. 지켜야 할 가치가 있는 조직이라고 믿거든요. MBC는 공공재입니다. 공공재를 지켜야할 이유에 대해, 다음에 다시 이야기를 이어갈게요. 

반응형

'짠돌이 독서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아하는 일을 오래 할 수 있는 힘  (16) 2018.09.03
한국 SF의 새로운 기준  (3) 2018.08.31
당신도 누군가의 고민거리  (14) 2018.08.29
아님 말고의 정신  (8) 2018.08.28
'경제적 인간'의 종말  (6) 2018.08.27